top of page
Search

이른 새벽에 자동차들이 줄줄이 교회로 들어오고 있다. 한 번에 10대 이상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기차처럼 들어오고 있다. 20년 이상을 우리 교회를 섬기면서 처음 보는 광경이다. 이렇게 2025년 삼겹줄 기도회가 시작되었다. 매년 아이들의 봄방학이 시작되면 전교인 삼겹줄 기도회를 한다. 올해는 유진 피터슨 목사님의 “다윗, 현실에 뿌리박은 영성”이라는 책을 가지고 다윗의 삶을 추적하며 삼겹줄 기도회를 했다. 첫날부터 은혜가 부어졌다. 매년 참가자가 많아지더니 올해는 드디어 200명이 훨씬 넘었다. 97세 되신 이명기 집사님으로부터 1살, 뱃속의 아이까지, 한어권, 영어권을 넘어 스페니쉬까지 나오고 있다. 그리고 이어지는 새벽기도에 피곤함과 여러가지 이유로 시간이 지나면서 출석인원이 줄 수밖에 없는데 올해는 매일매일 참가자가 더해진다.

     

첫날에는 주일학교 아이들이 잠옷차림으로 왔다. 아마도 부모님이 자는 아이를 둘러업고 온 것 같다. 그런데 둘째 날부터 잠옷입은 아이들이 안 보인다. 오히려 일찍 일어나 “새벽기도회” 가자고 부모님을 깨웠다고 한다. 시간 시간마다 

서로가 기도짝의 문제를 안고 얼마나 간절히 부르짖는지 교회가 진동하는 것 같다. 이런 부르짖음 속에 첫날부터 기도응답의 소식이 들리더니 매일 기도응답의 소식이 들렸다. 또 기도 후에는 삼삼오오 모여 여선교회가 준비한 아침식사를 하며 교제를 한다. 참 아름다운 풍경이다. 이것이 삼겹줄 기도회고 우리 교회의 저력이다.

     

다윗은 인생 모든 시즌에서 하나님만 사랑하고 하나님과 교제했다. 그러자 하나님은 속마음, 예루살렘에 자신의 이름을 두고자 하는 하나님의 마음을 알았다(대하 6:6). 그리고 이일을 위해 하나님께서 사무엘 선지자를 통해 어린 자신에게 이스라엘 왕으로 기름 부은 것도 알았다. 그리고 이 하나님의 마음을 자신의 비전으로 삼았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다윗의 삶은 비전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하나님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것이다. 여전히 하나님을 사랑하고 하나님만 예배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그러던 어느 날(20년이 지난 후) 다윗은 자신이 이루어진 비전 앞에 서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우리 교회도 ”모든 민족, 모든 세대, 모든 언어“라는 비전이 있다. 그리고 감당해야 할 수많은 일들이 기다리고 있다. 그런데 이번 삼겹줄 기도회에서 하나님이 소개해준 다윗은, 일하는 사람이 아니라 예배하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과 함께하면서 하나님이 하신 일들의 증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이다.

     

이런 다윗을 하나님은 내 마음에 합한 자요(행 13:22) 마지막 때에 만인의 통치자로 모델로 삼으셨다(사 55:3,4)고 한다. 우리 교회가 내가 이번 삼겹줄기도회처럼 하나님만 사랑하며 살았으면 좋겠다.


홍형선 목사

 
 
 

우리 교회의 아름다운 전통중 하나가 아이들의 봄방학을 맞아 전교인 삼겹줄 특별 새벽 기도회를 하는 것입니다. 삼겹줄 기도의 성경적 근거는 전도서 4장 12절과 마태복음 18장 20절에 두고 있습니다.


"한 사람이면 패하겠거니와 두 사람이면 능이 당하나니 삼겹줄은 쉽게 끊어지지   아니하니라" (전4:12)


"두세 사람이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 나도 그들 중에 있느니라“


 (마18:20)


     


삼겹줄 기도회 방법은


1) 새벽에 3명이 한팀이 되어 가장 중요한 기도 제목 한가지만 서로 나눈 뒤에


2) 서로를 위해 7분간 합심기도 하고,


3) 하루에 한번 서로 격려 전화를 하고,


4) 잠자기 전에 꼭 10분간 서로 중보기도 하는 것입니다.


3명이 한 주간 짝이 되어 예수님이 나를 위해 십자가를 지셨듯이 다른 지체의 문제를 위해 십자가를 지고 중보하는 한 몸 기도 운동입니다. 삼겹줄 기도회의 장점은 마치 장작불이 한 나무 일 때는 쉽게 꺼져 버리지만 함께 모이면 생나무도 활활 타오르듯, 어렵게만 느껴지던 기도가 다른 성도들과 함께 하다 보면 쉬워진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통계적으로 삼겹줄 기도회 중에 함께 기도 하다가 기도 응답 받고 성령 세례 받는 역사가 제일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삼겹줄 특별 새벽 기도는 종전 새벽예배 보다 10분 일찍인 5시 50분에 시작합니다. 그래서 15분 동안 찬양하고 20분 동안 동시통역으로 설교하고, 7분 동안 통성기도로 6시 40분전에 끝남으로 직장가는 일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 매일 아침 여선교회에서 식사를 준비하여 모두가 식사 후 출근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올해도 Day light saving time이 시작되는 피곤한 주간에 삼겹줄 특새를 시작하면서 한주간이 무척 바쁘고 정신이 없을 것 같습니다. 게다가 환절기라 그런지 감기로, 알러지로 고생하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이런 때에 새벽 기도회를 한다는 것은 그리 녹록지 않아 보입니다. 그러나 몸도 가끔은 격렬하게 운동해 주어서 건강해지듯 영적 건강을 위해서도 바쁜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올해 삼겹줄 기도회는 유진 피터슨의 "다윗-현실에 뿌리박은 영성"이라는 책을


가지고 "Leap over a wall(성벽을 넘으라(시 18:29))"는 주제로 있습니다. 인생을 살다 보면 현실이 감옥처럼 갇히고 막힌 것 같이 느껴질때가 있습니다. 다윗의 삶도 그랬습니다. 하지만 다윗은 함께 하시는 하나님과 골리앗이라는 장벽도, 엔게디라는 광야도, 시글락이라는 억울함도 넘었습니다. 다윗이 넘었다면 이번 기도회를 통해 우리도 주님과 함께 장벽을 넘을 것입니다.


올해도 조원 모두가 개근할 경우 순복음 선교 cafe 상품권($15)을 시상할 예정이니 기도회가 끝난 후 신선한 커피를 마시면서 한 주간 기도회를 격려하고 축복하는 시간이 되시길 부탁합니다.


홍형선 목사

 
 
 

지난주에는 한파로 모든 것을 움츠려 들게 하더니 이번 주에는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따스한 봄이다. 이 따스함에 나무들이 기지개를 켜기 시작했다. 복숭아나무에는 분홍빛 꽃이 가지마다 밝히고 있다. 그래서 교회에 심긴 과실수마다 가지치기를 시작했다. 가지치기에는 원칙이 있다. 먼저 죽은 가지와 앞으로 열매 맺을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가지를 잘라야 한다. 죽은 가지는 그냥 두면 그곳에 병균이 생겨 나중에 열매 맺을 가지까지 병들게 하기 때문이다. 또 건강하지만 위로 솟거나 가지들 속으로 파고들어 열매를 맺을 수 없다고 판단되는 가지도 잘라야 한다. 왜냐하면 나중에 다른 가지들이 열매를 맺는데 필요한 영양분을 빼앗아 가고, 그늘을 만들어 열매들로 여물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앞으로 열매 맺을 가지들이 더 많은 열매를 맺게 하기 위해서 가지치기를 한다. 그중에 대추나무는 새 가지에서만 꽃이 피고 열매를 맺기에 묵은 가지들은 사정없이 잘라내야 한다. 자르다 보니 대추나무가 1/2로 작아진 것 같다. 대추나무도 아프고 힘들겠지만 나 또한 아까운 생각이 든다. 그래도 더 좋은 열매를 위해서는 잘라내야 한다.

     

누군가가 내 얼굴을 바라보며 얼굴이 상했다고 한다. 부은 것 같다고 한다. 전에는 “우유빛깔 피부”라는 말을 들었는데 요즘 들어 푸석하고 부은 얼굴이다. 전화기에서 소환되는 4,5년 전 사진을 보면 변질된 얼굴이다. 왜 그럴까? 나이 탓도 있지만 아내는 스트레스가 많기 때문이란다. 사실 요즘 내 생각대로 안 되는 것들이 많다. 심지어 기도하며 바랬던 것들마저도 안 되는 것들이 많다. 내 힘으로 어쩔 수 없기에 발만 동동 구르게 하는 것들이 많다.

     

오늘 나뭇가지들을 잘라내면서 문득 하나님께서 나를 가지치기하는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을 했다. 나의 병든 부분을 잘라내고, “주 안에서 잘될 수밖에 없다는 말”처럼 나의 미래를 아시는 하나님이 나의 성장을 위해 지금은 아깝다고 여김에도 잘라내고 계신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나는 가지치기 앞에 힘들다고 저항하고 항변하는데 신기하도록 나무는 가만히 있다. 전정가위로 작은 가지를 잘라 낼 때도, 톱으로 큰 가지를 잘라낼 때도 나무는 가만히 있다. 오히려 주인을 신뢰하는 듯 잎을 내고 꽃을 피우고 열매 맺을 생각만 한다. 이것이 나무와 가지의 자세이다.

     

오늘 내게 필요한 것은 신뢰이다. 주를 향한 신뢰이다. 그리고 “나는 주 안에서 잘 될 수밖에 없다”는 고백이다.

     

홍형선 목사

 
 
 
bottom of page